티스토리 뷰

 

<나노 자기유전학 기술은 천진우 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을 이용해 뇌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천진우 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왼쪽), 이정욱 IBS 나노의학 연구단 연구원(중간), 이재현 IBS 연구위원(오른쪽). IBS 제공>

 

  •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어리얼스’ 소개…IBS 나노의학연구단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으로 뇌세포의 활성을 제어해 뇌 기능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뇌에 칩을 직접 이식하지 않고 뇌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어 뇌 과학과 의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연구단 천진우 단장과 이재현 연구위원은 28일 자기장에 반응하는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단백질로 이온 채널을 열고 닫아 뇌 세포 안팎의 이온 농도를 조절해 뇌 세포 활성을 제어하는 ‘나노 자기유전학 기술’ 개발했다고 밝혔다.

 

사람 몸의 신경세포는 세포 내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를 조절해 전기 신호를 만들고 전달한다. 칼슘(Ca) 이온이 세포 내부로 유입되면 뇌세포가 활성화되면서 전기 신호를 생성하고 뇌 신경을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 중추 신경계가 몸의 각종 부위를 움직이게 하는 원리다. 세포막을 관통하고 있는 이온 채널은 이온이 드나드는 통로 역할을 한다.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이 이달 28일 오전 10시 서울 연세대 IBS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자기장으로 뇌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나노 자기유전학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IBS 제공>

 

이온 채널은 종류에 따라 문을 열고 닫는 방식이 다양하다. 빛을 받으면 작동하거나 세포 안팎의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에 따라 작동하기도 한다. 이중 '피에조' 이온 채널은 사람이 문을 여닫는 것처럼 물리적인 힘이 작용해야 작동한다.

 

연구팀은 피에조 이온 채널에 자기장에 반응하는 단백질인 ‘나노나침반’을 붙이고 회전력(토크)으로 이온 채널을 열고닫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먼저 피에조 이온 채널을 뇌세포의 세포막에 만들기 위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백신 중 mRNA 백신에 쓰이는 기술을 이용했다. mRNA 백신은 독감을 유발하는 아데노바이러스의 독성을 없앤 후 코로나19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집어 넣어 만든다. 연구팀은 그 대신 피에조 이온 채널을 만드는 유전자를 집어넣었다.

 

몸속에 들어간 아데노바이러스는 이 유전자를 읽어 세포막에 이온 채널을 만든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들어진 피에조 이온 채널에 특수 주사기로 크기가 500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나노나침반을 붙였다.

 

피에조 이온 채널을 열고 닫기 위해서는 1~10피코뉴턴(pN·1피코뉴턴은 1조분의 1뉴턴)에 해당하는 힘이 필요하다. 힘이 이보다 작으면 이온 채널이 작동하지 않고 크면 이온 채널이 훼손될 우려가 있다. 연구팀은 자기장 생성 장치로 세기가 25밀리테슬라(mT·자기장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자기장을 생성한 후 이 자기장 세기에서 5피코뉴턴의 회전력이 생기도록 나노나침반을 설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자기장 생성 장치의 소형화 모델. 자석이 달린 원통 모양의 장치가 회전하면 25밀리테슬라 크기의 자기장이 생성되고 쥐의 뇌세포에 있는 나노나침반이 작동해 피에조 이온 채널을 열고 닫는다. 실제 크기의 장치는 자기장 생성 장치는 입구의 직경이 70cm로 병원에서 쓰는 MRI 장비의 직경과 비슷하다.김우현 기자  mnchoo@donga.com >

 

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쥐의 우뇌에 있는 운동 신경 세포에 피에조 이온 채널을 만들고 나노나침반을 붙인 후 자기장 생성 장치로 자기장을 만들었다. 그 결과 멈춰있던 쥐가 움직이기 시작했고 왼발의 운동 신경이 활성화돼 쥐가 반시계방향으로 뱅글뱅글 도는 것을 확인했다. 이때 쥐의 평균 운동 속도는 대조군의 평균 운동 속도의 5배였다.

 

기존의 뇌 과학 분야에서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때는 작은 칩을 뇌에 삽입하거나 광섬유를 직접 연결해 빛으로 조절하는 방식을 주로 활용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칩이나 광섬유를 삽입하기 위해 수술할 필요가 없고 자기장은 빛과 달리 인체 침투력이 높아 신체 곳곳의 이온 채널을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다.

 

천 단장은 "피에조 이온 채널이 물리적인 힘으로 작동한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지만 실제로 채널을 작동시키고 동물의 행동을 제어한 건 처음"이라며 "운동 신경세포뿐 아니라 청각, 시각 세포에도 적용할 수 있어 파킨슨병 같은 뇌 관련 질환 치료, 면역 조절, 두뇌의 작동 원리 규명 등 뇌과학을 연구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머티어리얼스' 인터넷판 1월 28일자에 실렸다.

 

동아사이언스 김우현 기자 / mnchoo@donga.com

 

---

 

이로써 두가지 사실이 진실로, 밝혀지고 있다 하겠다.

  • 하나는, 코로나19 백신 속 인간의 유전자 변이를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유전자가 포함되었다는 것이고,
  • 둘째는, 적어도 중국발 우한폐렴, 즉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백신을 투약할 계획을 철저하게 설계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 한가지를 추구하자면, 크기가 500nm(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나노나침반까지, 추가로 투약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우한폐렴이 창궐한 우한연구소가 조지 소로스와 관련이 깊다는 뉴스는,

지난 우한폐렴 발발이후 수많은 정보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지 소로스는 국내의 몇몇 연구진 및 연구단체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도,

다 밝혀졌던 사실이다.

 

나는 위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이 조지 소로스에 의해,

이와같은 연구를 하고 있었다고 말하고 싶진 않다.

하지만 누군가에 의해, 영향을 받았을순 있다고 확신한다.

 

나는 진실이 밝혀지는 순간까지는,

현재 돌고 있는 코로나-19 백신 관련, 코로나-19 백신엔 비정상적인 성분들,

그리고 그 성분들 중엔 인간의 유전자 변형을 가져온다는 음모론, 나노칩이 포함되어 있다는 그 음모론,

그 음모론이 사실이다! 아니다! 말할순 없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분명한 건,

지금까지 거론되고 있었던,

코로나-19 백신이 포함하고 있는 비정상적인 성분들,

그리고 그 성분들 중, 인간의 유전자 변형을 가져온다는 음모론, 나노칩이 포함되어 있다는 그 음모론은,

얼마든지, 사실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

 

 

youtu.be/Vcfx4X3KHE8

 

 

youtu.be/FNb-XvfGbr8

 

 

youtu.be/gXrEzlZplAI

 

---

 

 

 

 

 

+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동물 행동 조종하는 ‘뇌세포 리모컨’ 나왔다 – 43Gear

<나노 자기유전학 기술은 천진우 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국내 연구팀이 자기장을 이용해 뇌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천진우 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왼쪽),

43gear.com